경제

"소름!" 치솟는 먹거리값…정부·기업은 왜 여전히 ‘책임 없다’는 걸까?

안테나뉴스 2025. 6. 3. 23:26

라면·커피·과자까지 줄줄이 올라

외식도 부담…“소득은 줄고 물가는 폭등”

“이대로면 진짜 끼니 걱정” 아우성 커져

식품 가격 인상 도미노 / 출처-온라인커뮤니티

최근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동네 마트에서 라면 한 봉지, 커피 한 잔, 간단한 간식 하나를 사는 일마저 주저하게 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누구나 만만하게 즐겼던 소소한 먹거리들이 당장 금액부터 부담스럽게 다가오는 현상은 "체감 물가"가 단순한 숫자로만 존재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절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창 성장기인 자녀들에게 간식하나를 사주기 부담스럽다는 부모들의 하소연이 줄을 잇고 있고, “과자 한 봉지 사기 무섭다”, “요거트 하나는 엄두도 못 낸다”는 말이 바로 지금 대한민국의 평범한 일상이 되었습니다. 소득이 적은 계층이나 신혼부부, 젊은 직장인들, 그리고 고령층까지, 취약계층에서는 건강을 챙기기조차 힘든 선택을 강요당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한 끼 식단을 밑반찬으로 간소화하거나, 삼시세끼조차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일이 흔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각박해진 살림살이는 단순히 ‘먹거리 인상’ 논란을 넘어 우리 사회 민생의 상징이 되고 있습니다.

물가 인상 ‘빅웨이브’, 골목상권부터 밥상까지 줄줄이 영향

 

식품 가격 인상 도미노 / 출처-온라인커뮤니티

올해 상반기에만 60곳이 넘는 식품·외식업체에서 줄줄이 가격을 올렸습니다. 라면과 김밥뿐 아니라 커피믹스, 과자, 빵, 발효유, 아이스크림, 카레 등 ‘대한민국 식탁’의 주요 아이템들이 도미노처럼 가격이 뛰었습니다. 농심, 오뚜기, 빙그레 등 굴지의 식품 대기업 뿐 아니라 동네 골목 브랜드, 무명 업체까지도 인상 행렬에 동참했습니다. 아이스크림 같은 경우엔 브랜드마다 포장·규격만 바꿔 눈속임 인상을 하는 경우도 목격되고 있고, 커피믹스는 반년 사이 두 차례나 올라 무려 20% 이상 점프했으며, 식자재 시장부터 편의점 매대까지 ‘가격표 갈이’가 일상적인 일이 되어버렸습니다. 실제 각 브랜드별로 10~30% 인상폭은 예사이고, 일부 품목은 그 이상 오르기도 했습니다. 언뜻 ‘점진적 조정’이라는 공지지만, 실상은 갑작스러운 인상 러시라는 불만이 팽배합니다. 이 정도면 단순히 일시적 어려움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 생활물가가 고착되고 있다”는 위기의식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치·사회 이슈와 물가 '책임' 논란

정부·기업, 책임 미루기만?

 

식품 가격 인상 도미노 / 출처-온라인커뮤니티

최근 일부 시민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물가 인상 시점이 정치·사회 불확실성과 맞붙었다는 의혹도 나옵니다. 작년 말 사회적 혼란, 대선 정국 등으로 여론이 산만해질 때 기업들이 ‘눈치 볼 필요 없이’ 가격 인상에 나섰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실제 대부분의 식품·생필품 인상이 정치·사회적 이슈에 집중되었던 연말~봄에 몰렸다는 통계는 이런 해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와 기업은 “외부 변수 때문으로 불가피하다”, “환율, 국제 원자재가 상승, 공급망 문제 탓”이라는 기존 논리를 반복하며 책임을 선을 긋는 데 급급했습니다. 원가가 내려도 소비자 가격이 쉽게 내려가지 않은 경험 탓에, 국민들은 "결국 부담은 소비자가 모두 진다"는 냉소와 회의, 그리고 분노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익만 챙기고, 책임은 없다”, “원가가 내리면 가격도 내려야 한다”는 불신이 만연합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정부 정책, 대기업, 유통업계에 대한 신뢰 하락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실질소득 하락 속 끝없는 생활고

"이대로는 못 버틴다"

식품 가격 인상 도미노 / 출처-온라인커뮤니티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드는 주요인은 바로 소득 정체와 가계의 경제력 악화입니다. 특히, 소득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지난해보다 오히려 줄었고, 국민 다수에게 필수적인 먹거리·공공요금·교통비 등의 부담은 해마다 더 커지고 있습니다. 통계청, 경제연구소 등 공공기관 조사에 따르면 시민 10명 중 6명 이상이 ‘물가 안정’을 현안 1순위로 꼽았습니다. 이는 단순한 불편이나 불평의 문제가 아니라, 실제로 먹고사는 생존의 문제임을 방증합니다. 전문가들은 세계적 식량난, 기후위기, 환율 변동 등 외적 요인도 분명하지만, 국내 기업과 정부가 원재료 가격이 내릴 때 소매가 인하를 제대로 한 적이 없다는 점도 연이어 지적하고 있습니다. 단기간 전기·가스 지원, 한시적 할인 정책으론 이제 서민 체감 고통을 잡을 수 없다는 비판도 잇따릅니다. 결국 중장기적·구조적 물가 안정 대책, 취약계층을 위한 설계도가 절실하며, 소비자 단체에서는 “기업의 이익 중심, 정부의 미온적 대처로 결국엔 언제나 서민만 희생된다”는 냉혹한 평가까지 나오고 있습니다.